🔅 알고리즘 떡상/💵우먼버핏💶(부동산 주식 비트코인)💷

25년 4월 봄 기준,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50억짜리 '내 집' 이 있다면, 1인1주택 소유자라면, 재산세는 얼마일까?

여행쏘울 2025. 4. 20. 21:26
728x90
반응형

아파트 재산세 얼마나 내야할까? 재산세 총정리 | KB의 생각

 

아파트 재산세 얼마나 내야 할까? 재산세 총정리 | KB의 생각

재산세 납부가 어렵고 헷갈리는 분들을 위해 재산세 납부기간부터 아파트 재산세 계산하는 법까지 모두 정리해드릴게요.

kbthink.com


🧾 재산세 계산 과정

  1. 공시가격 추정
    시가 50억 원의 아파트는 일반적으로 공시가격이 시가의 약 70% 수준으로 평가되므로, 공시가격은 약 35억 원으로 추정됩니다.
  2. 과세표준 산정
    • 1세대 1주택자: 공정시장가액비율 45% 적용
      → 과세표준 = 35억 원 × 45% = 15.75억 원
    • 다주택자: 공정시장가액비율 60% 적용
      → 과세표준 = 35억 원 × 60% = 21억 원
  3. 재산세율 적용
    과세표준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세율이 적용됩니다:
    • 1세대 1주택자 특례세율:
      • 6천만 원 이하: 0.05%
      • 6천만 원 초과 ~ 1.5억 원 이하: 0.1%
      • 1.5억 원 초과 ~ 3억 원 이하: 0.2%
      • 3억 원 초과: 0.35%
    • 일반세율:
      • 6천만 원 이하: 0.1%
      • 6천만 원 초과 ~ 1.5억 원 이하: 0.15%
      • 1.5억 원 초과 ~ 3억 원 이하: 0.25%
      • 3억 원 초과: 0.4%
  4. 재산세 산출
    • 1세대 1주택자:
      • 과세표준 15.75억 원에 대해 누진세율 적용
      • 재산세 약 5,310,000원
    • 다주택자:
      • 과세표준 21억 원에 대해 누진세율 적용
      • 재산세 약 8,370,000원
  5. 부가세 포함
    재산세 외에 다음의 부가세가 추가됩니다:
    • 지방교육세: 재산세의 20%
    • 도시지역분: 과세표준의 0.14%​
    • 1세대 1주택자:
      • 지방교육세: 약 1,062,000원
      • 도시지역분: 약 2,205,000원
      • 총 납부액: 약 8,577,000원
    • 다주택자:
      • 지방교육세: 약 1,674,000원
      • 도시지역분: 약 2,940,000원
      • 총 납부액: 약 12,984,000원

📌 참고사항

  • 납부 시기: 재산세는 매년 7월과 9월에 각각 50%씩 나누어 납부합니다.
  • 종합부동산세: 공시가격이 6억 원(1세대 1주택자는 9억 원)을 초과하는 경우 종합부동산세 납부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
  • 세액 공제: 고령자 및 장기 보유자에게는 최대 80%까지 세액 공제 혜택이 제공됩니다.

✔︎ 정확한 세액 계산을 위해서는 서울시 ETAX 시스템의 지방세 미리 계산기를 이용하시거나,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을 권장

728x90
반응형